고객의 수요와 질환특성에 맞춰 의료·복지, 재가, 지역사회 서비스를 연계하여 예방에서 임종까지 전생애에 걸쳐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통합서비스
구분 |
내용 |
|---|---|
도입기('09) |
중앙보훈병원 시범운영, 7개 서비스 실시 |
확대기('10~'11) |
지방보훈병원 확대, 운영지침 제정 등 |
발전기('12~'14) |
방문완화의료 추가, 통합서비스 운영조직 개편, Bohun-CF(보훈생활건강분류) 개발 등 |
전환 및 도약기('15) |
통합서비스 종합개선계획 수립, 신규 통합서비스 개발(찾아가는 치매예방, 임종정보서비스) |
실행력 강화(’16∼18) |
통합서비스 전담 인력 배치, 기획재정부 승인 통합서비스 활성화 인력 정원 확보 및 신규 서비스 발굴, 확대 추진(방문인지·작업치료, 가정호스피스) |
고도화(’19~22) |
건강복지안전망 전산시스템(IMSAFE) * 개발 및 전국 보훈병원 확산, 정부복지안전망 서비스의뢰시스템(행복e음)연계 등 인프라 확충 건강복지안전망 전산시스템(IMSAFE) : Identification(등록), Measurement(사정), Service planning(케어플랜), Action(실행), Feedback(모니터링)의 약자로 개인별 의료, 사회적 상황에 따라 필요한 통합서비스를 자동 추천, 연계하는 통합서비스 실행 모델 |
건강관리전문가(케어매니저)가 통합서비스 고객을 신체·심리·사회적 환경 등 종합적으로 상담·평가하고 고객특성과 질환상태를 반영한 케어플랜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재가, 의료·복지, 지역사회) 제공 후 성과평가 실시

통합서비스 종류로는 재가 서비스, 의료복지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가 있습니다.
재가 서비스, 의료복지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됩니다. 그리고 고객, 의료복지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는 성과평가 재사정&조정을 합니다.
분류 |
서비스명 |
주요내용 |
|
|---|---|---|---|
보훈병원 |
|||
퇴원 후 치료 |
방문재활치료 |
방문물리치료, 방문인지·작업치료 |
|
가정간호서비스 |
투약지도, 주사, 간호처치, 건강상담 등 |
||
임종 |
가정호스피스 |
통증 및 증상 관리, 사별가족 상담 등 |
|
지역사회 연계 |
일상지원 |
지역사회 자원 |
의료사회복지사 상담 및 캐어플랜 수립, 지역사회 의료·복지 자원 연계 |
대상자 선정
STEP 01
환자방문
STEP 02
서비스 실시
STEP 03
모니터링
STEP 04
대상자 선정
STEP 01
대상자 선정 시 지역구별 선정 우선
환자방문
STEP 02
서비스 실시
STEP 03
모니터링
STEP 04
대상자 선정
STEP 01
환자방문
STEP 02
서비스 실시
STEP 03
모니터링
STEP 04
전화상담으로 지속적인 환자관리
가정방문 시 환자상태 수시체크
이상발견 시 주치의 자문
대상자 선정
STEP 01
환자방문
STEP 02
서비스 실시
STEP 03
모니터링
STEP 0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